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게시판
  2. 자료실

자료실

자료실입니다.

게시판 상세
제목 한옥의 온돌문화
작성자 관리자 (ip:)
  • 평점 0점  
  • 작성일 2009-10-28
  • 추천 추천하기
  • 조회수 179
 



우리 한옥에서만 발견할 수 있는 구들과 굴뚝.  아궁이에서 데워진 더운 공기와 불길이 구들에 오래 머물도록 만든 개자리는 세계에서 가장 발달한 소각로로 인정받는 한옥의 구들을 만든 일등공신이다.


난방은 물론 천연 방충제와 천연 방부제의 역할까지 담당했던 한옥의 난방시설은 수천년 불을 지펴온 우리 민족 지혜의 결정판이다.


수천년 지혜가 만들어낸 한옥의 난방시설

한옥의 살림집 난방은 아궁이에 지핀 불길이 고래(구들장 밑으로 낸 고랑)를 타고 구들장을 데우는 일부터 시작된다.  안방의 경우에는 부뚜막이 있다.

가마솥을 건 부뚜막에는 큼직한 아궁이가 있어서 장작을 듬뿍 집어넣고 불을 때도 좋을 만큼 넉넉하다. 아궁이 바닥은 안쪽으로 약간 경사지게 해서 높이고는 고래가 시작하는 부분에 ‘부넘기’라는 턱을 만들어 준다.

장작에 불이 붙으면 불과 연기가 이 ‘부넘기’로 해서 고개를 바짝 쳐들게 되고, 그래서 깊은 고래 위에 얹은 구들장을 핥으며 지나갈 수 있게 된다.

고래로 그냥 통과하면 방이 데워지지 않고 아까운 열량만 소비할 뿐인 것이다.  고래로 통과하는 불길과 더운 공기가 구들장에 달라붙게 마련하는 일이 한옥 난방시설의 요체이다.







고래는 30 ㎝ 정도의 높이로 골을 이루듯이 만들어진다. 여러 개의 골이 평행하기도 하고, 아궁이로부터 방사선형으로 고래를 켜기도 한다. 켠다는 말은 고래를 같은 간격으로 이랑 이루듯이 만들어낸다는 의미이다.

고래 주변에는 고래보다 더 깊은 개자리(방구들 윗목에 깊이 파놓은 고랑)가 생긴다. 개자리는 50 ㎝ 이상 깊어서 고래보다 바닥이 차다. 불담에 휩싸여 따라들어오던 그을음과 티끌들이 이 개자리에 떨어진다.

개자리에 머물던 더운 기운이 비로소 굴뚝으로 향하게 되는데, 개자리는 아궁이에서 데워진 더운 공기와 불길이 구들에 오래 머물기를 바라며 만든 것이어서 더운 공기가 굴뚝으로 직행하려는 동작을 제어하는 에어커튼의 구실을 한다.  



한옥의 구들이 세계에서 가장 발달한 소각로가 된 것은 이 개자리가 있기 때문인데, 이는 수천년 불을 지펴온 사람들의 지혜에서 우러나온 결과이다. 방에 구들을 들인 예가 세계 어느 민족에도 없다는 사실은 신식의 소각로보다 우리 풍부한 경험의 소산인 개자리가 월등한 효능을 지녔음을 말해준다.

개자리에서 머물던 더운 기운은 티끌을 다 떨어버리고 맑은 연기만 배출한다. 땅바닥에 연무로 퍼지는 파아란 연기는 한옥의 한 정취이기도 하고 살충제의 구실도 한다.


굴뚝의 연기는 천연 방충제 기능




사랑방은 굴뚝을 방문 앞 마당에 설치하기도 한다. 키작은 앉은뱅이 굴뚝인데 아주 정감어린 구조물이어서 눈에 거슬리지 않는다. 그 앉은뱅이 굴뚝에서 연기가 나온다.

모깃불을 따로 지피지 않아도 그 연기로 해서 벌써 모기는 저만큼 달아나 버렸다. 그래서 굴뚝 언저리에는 거미줄이 없다.   줄을 치고 벌레를 잡아먹어야 하는데 연기에 쫓겨 벌레들이 다 피해가 버려서 거미로서는 헛수고 할 까닭이 없는 것이다.

이렇듯 굴뚝의 연기는 자연스레 방충기능을 지니고 있다. 고향 한옥에 사는 이들이 발달된 의료기관이 없던 시절에도 건강하게 살 수 있었던 것은 아궁이와 굴뚝에서 하루에도 몇 번씩 거듭해 살균해 준 덕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소나무를 때면 소나무 그을음이 가마솥이나 아궁이 구들장에 묻는다. 그것을 긁어내면 먹을 만들 수 있는데, 그 먹으로 글씨를 쓴 자리는 잘 썩지 않는다.  먹에 방부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자금성을 돌아보면 굴뚝 보기가 어렵다.

일본의 살림집에는 굴뚝이 아예 없다. 화덕 말고는 불을 때는 곳이 없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한옥은 집집마다, 건물마다 굴뚝이 있다. 그런 굴뚝은 굴뚝조형에 특별한 재주를 부려서 경복궁에 보물로 지정된 굴뚝이 있을 정도이다. 전세계에서 굴뚝을 나라의 보배로 지정한 민족은 단지 우리뿐이다.



불이 인류의 문명을 선도하였다는 점에서 우리 구들은 놀라운 구조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글 / 신영훈 해라시아문화연구소장. 전 문화재전문위원으로 ‘한옥문화원’을 개원, 한옥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사진/ 김대벽 문화재전문 사진작가  [sullocwebzine]
첨부파일
비밀번호 수정 및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관리자게시 게시안함 스팸신고 스팸해제 목록 삭제 수정 답변
댓글 수정

비밀번호 :

수정 취소

/ byte

비밀번호 : 확인 취소

댓글 입력

댓글달기이름 : 비밀번호 : 관리자답변보기

확인

/ byte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대소문자구분)

회원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




앗! 화면폭이 너무 좁아요.
브라우져의 사이즈를 더 늘여주세요~

좁은 화면으로 보실 때는 모바일 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으로 쇼핑을 즐기실 수 있어요~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close
     

    CUSTOMER CENTER

    BANK INFO

    • 예금주